QT나눔방
본문 / 창세기 35:16-29
제목 / 하나님께서 맡기신 역할을 온전히 감당하라
16 그들이 벧엘에서 길을 떠나 에브랏에 이르기까지 얼마간 거리를 둔 곳에서 라헬이 해산하게 되어 심히 고생하여
17 그가 난산할 즈음에 산파가 그에게 이르되 두려워하지 말라 지금 네가 또 득남하느니라 하매
18 그가 죽게 되어 그의 혼이 떠나려 할 때에 아들의 이름을 베노니라 불렀으나 그의 아버지는 그를 베냐민이라 불렀더라
19 라헬이 죽으매 에브랏 곧 베들레헴 길에 장사되었고
20 야곱이 라헬의 묘에 비를 세웠더니 지금까지 라헬의 묘비라 일컫더라
21 이스라엘이 다시 길을 떠나 에델 망대를 지나 장막을 쳤더라
22 이스라엘이 그 땅에 거주할 때에 르우벤이 가서 그 아버지의 첩 빌하와 동침하매 이스라엘이 이를 들었더라
야곱의 아들은 열둘이라
23 레아의 아들들은 야곱의 장자 르우벤과 그 다음 시므온과 레위와 유다와 잇사갈과 스불론이요
24 라헬의 아들들은 요셉과 베냐민이며
25 라헬의 여종 빌하의 아들들은 단과 납달리요
26 레아의 여종 실바의 아들들은 갓과 아셀이니 이들은 야곱의 아들들이요 밧단아람에서 그에게 낳은 자더라
이삭이 죽다
27 야곱이 기럇아르바의 마므레로 가서 그의 아버지 이삭에게 이르렀으니 기럇아르바는 곧 아브라함과 이삭이 거류하던 헤브론이더라
28 이삭의 나이가 백팔십 세라
29 이삭이 나이가 많고 늙어 기운이 다하매 죽어 자기 열조에게로 돌아가니 그의 아들 에서와 야곱이 그를 장사하였더라
창세기 34장에서 야곱이 세겜에 와서 살 때 하나밖에 없는 딸 디나가 구경 나갔다가 거기서 겁탈 당하는 비극이 벌어지게 됐죠. 그리고는 야곱의 아들 중에서 시므온과 레위가 디나를 복수한답시고 세겜 사람들 다 죽임으로써 하나님의 백성의 가정 안에 수치스러운 일과 살인자가 되는 끔찍한 일이 그 가문 안에 존재하게 되었다는 거에요.
오늘 본문은 야곱이 가장 사랑했던 여인 라헬의 죽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라헬의 운명은 참으로 기구하죠. 남편의 사랑을 받긴 했지만 그러나 늘 자식을 낳지 못해서 그게 마음에 한이 되었죠. 언니 레아는 자식을 순풍 순풍 낳는데 자신은 그렇지 못하니깐 아무리 남편이 자신을 사랑해도 자식을 낳지 못하는 마음의 한이 남아 있는 것이죠. 그러던 중에 하나님은 드디어 라헬을 생각하시므로 아들을 주시죠. 그 내용이 창세 31장 22절~24절입니다.
22 하나님이 라헬을 생각하신지라 하나님이 그의 소원을 들으시고 그의 태를 여셨으므로
23 그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고 이르되 하나님이 내 부끄러움을 씻으셨다 하고
24 그 이름을 요셉이라 하니 여호와는 다시 다른 아들을 내게 더하시기를 원하노라 하였더라
하나님은 라헬의 마음의 간절한 소원을 들으시고 태를 여시므로 뒤늦게 요셉을 주셨죠. 그러나 그 이름 뜻을 보면 요셉이죠. 요셉은 더하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니깐 라헬은 요셉을 얻게 되어 그동안 자식을 낳지 못했던 부끄러움과 수치를 씻게 되어 기뻐했겠지만 그러나 요셉 하나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하는 것이죠. <여호와는 다시 다른 아들을 내게 더하시기를 원하노라 하였더라> 남편이 나를 아무리 사랑해 줘도 아무리 금쪽 같은 아들이 있어도 아직 나는 이걸로는 만족이 안 된다는 것을 스스로 말해주는 것이죠.
그래서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라헬의 기도 응답으로 새로운 생명을 주시는 장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생명이 태어나는 순간이니 무엇보다 기쁘고 축복된 장면이긴 하지만 그러나 여행 중에 출산하게 된 라헬은 난산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아들은 탄생하게 되었지만 라헬은 죽게 된 것이죠. 자신의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 두 번째 아들을 얻긴 했지만 그러나 두 번째 아들을 낳다가 죽은 슬픈 여인이 된 것이죠. 이 과정에서 라헬은 자신의 두 번째 아들의 이름을 베노니, 슬픔의 아들이라고 지었지만 야곱은 베냐민, 오른손의 아들로 이름을 바꾸었죠.
야곱과 라헬의 삶을 보면 많이 가졌고 더 채워졌음에도 그러한 소유가 그들에게 진정한 위로와 만족이 되지 못하는 것을 보게 되는 것이죠. 이 땅의 부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조금만 더라는 말이라고 하죠. 남들이 보기에는 그만큼이나 가졌으면 더 이상 부러울 게 없는 거 같은데 정작 본인은 여전히 만족이 되지 못하는 것이죠. 전도서 1장 8절 말씀 중에 <눈은 보아도 족함이 없고 귀는 들어도 가득 차지 아니하도다> 정말 진리인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죠.
여러분 그렇다면 우리에게 진정한 위로와 만족은 어디서 얻을 수 있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오직 한 분 예수님께로부터 가능한 줄 믿습니다. 라헬이 죽게 되어 슬픔의 장소가 되어버린 에브랏, 즉 베드레헴 땅은 예수님이 탄생하신 곳이기도 하죠. 예수님이 베들레헴 땅에오셔서 인간의 근본적인 슬픔을 해결해 주시는 것이죠.
인간의 슬픔과 고통의 근본적인 원인은 죄이고 그 죄는 사망을 가져오게 되었죠. 그리고 죄를 짓게 만든 존재는 바로 사탄이죠. 그러나 예수님은 이 땅에 오셔서 우리를 죄로부터 사망으로부터 사탄으로부터 건져 구원해 주시는 분이십니다. 우리의 모든 근본적인 고통과 슬픔을 해결해 주시는 분이신 것이죠.
결국 오늘 본문은 우리로 하여금 예수님을 바라볼 것을 말씀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인생의 슬픔 가운데 있느냐? 고통 가운데 있느냐? 그 슬픔과 고통을 없애기 위해서 내가 왔다. 나 예수를 바라보라! 이렇게 말씀해 주신다고 믿습니다.
우리의 모든 고통의 근본적인 해결과 참 만족은 오직 한 분 예수님으로부터 나오는 줄 믿습니다. 오늘도 그 예수님을 바라보게 되기를 원합니다. 예수님만이 우리의 위로와 안전과 만족이 되시는 줄 믿습니다. 오늘도 그 예수님과 동행함으로 어느 곳에서든지 평안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파일 |
---|---|---|---|---|---|
3499 | 9월11일 새벽설교 요약 | 김두리 | 2025-09-11 | 1 | |
3498 | 9월 10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9-10 | 6 | |
3497 | 9월 9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9-09 | 10 | |
3496 | 9월 8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9-08 | 11 | |
3495 | 온가족 토요 새벽 기도회(9월 6일) 설교 요약 | 곽숭기 | 2025-09-06 | 5 | |
3494 | 9월 5일 새벽설교 요약 | 김성호 | 2025-09-05 | 9 | |
3493 | 9월 4일 새벽설교 요약 | 김성호 | 2025-09-04 | 11 | |
3492 | 9월3일 새벽설교 요약 | 김두리 | 2025-09-03 | 9 | |
3491 | 9월 월삭기도회 설교 요약 | 곽숭기 | 2025-09-01 | 10 | |
3490 | 온가족 토요새벽 기도회(8월 30일) 설교 요약 | 곽숭기 | 2025-08-30 | 10 | |
3489 | 8월 29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8-29 | 15 | |
3488 | 8월 28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8-28 | 13 | |
3487 | 8월 27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8-27 | 15 | |
3486 | 8월 26일 새벽설교 요약 | 김성호 | 2025-08-26 | 15 | |
3485 | 8월 25일 새벽설교 요약 | 김성호 | 2025-08-25 | 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