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T나눔방
말씀: 마가복음 12:35-44
제목: 하나님께 내 삶을 진심과 전심으로 드리니
본문에는 두 부류의 사람이 나옵니다.‘서기관’과‘과부’인데요... 이들은 전혀 상반된 신분과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기관은 유대 사회에서 인정받고 존경받지만, 과부는 가난하고 힘이 없어 무시를 당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서기관을 책망하고, 과부를 칭찬하십니다. 35절 이하에서 서기관들이 그리스도를‘다윗의 자손’이라고 말한 것에 대하여 이들이 놓치고 있는 점을 가르쳐주십니다.
서기관들 뿐만 아니라 유대인들은 메시아를 다윗의 자손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사무엘하 7장에서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에게서 온다는 예언을 기억하기 때문인데요.. 유대인들이 알고 있는 것은 여기까지입니다. 그리고 이들이 놓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36절에서 다윗이 성령에 감동되어 한 말을 예수님이 제시합니다.“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내가 네 원수를 네 발 아래에 둘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시편110:1절에 나오는 말씀입니다.
다윗이 메시아를 가리켜‘내 주’라고 합니다. 예수님의 탄생 시기는 다윗보다 천년이 훨씬 지나서입니다. 그런데 다윗이 메시아를‘내 주’라고 한 것은 예수님이 태어나기 전부터 계셨다는 말이 되는 것이죠. 예수님은 유대인들이 깨닫지 못했던 부분을 가르쳐 주십니다. 유대인들은 메시아가 다윗의 혈통에서 태어난다는 사실만 알고 있지만, 메시아는 다윗이‘주’로 섬겼던 분으로 인간의 몸으로 태어나기 이전부터 계신 분이십니다. 다윗의 혈통에서 태어난 인간이 아니라 다윗이 주로 섬긴 하나님입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에게 원수들이 다 굴복할 때까지 하나님 우편에 앉으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우편에 앉는다’는 표현은 통치권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다스리는 분이십니다. 이스라엘의 왕으로 오실 메시아가 아니라 만왕의 왕으로, 온 인류를 다스리실 왕으로 영원히 통치하시는 진정한 왕이십니다. 그분이 우리의 주가 되셔서 우리를 죄로부터 구원하셨고 하셨고 하나님의 자녀로 삼으셨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우리는 예수님을 ‘내 주’ 로 고백하며 예수님의 영원한 통치를 받고 모든 영광을 돌리는 것이 마땅한 것이지요
38에서 40절입니다.
예수님은 서기관에 대하여 말씀하시는데, 서기관은 율법을 필사하거나 연구해서 가르치는 전문 율법 학자입니다. 이들이 하는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예수님은‘서기관들을 삼가라’고 하십니다. 왜 말씀을 연구해서 가르치는 서기관을 삼가라고 하신 것일까요?
예수님이‘서기관들을 삼가라’고 하신 것은 그들이 말씀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서기관들의 잘못된 행위를 삼가라고 하신 것입니다. 38, 39절에서 서기관들의 잘못된 모습을 지적하시는데“긴 옷을 입고 다니는 것과 시장에서 문안 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원하는...” 예수님은 서기관들의 이러한 행위를 지적하시며 이들을 삼가라 하신 것입니다.
예수님 당시 서기관들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이 일반인과 다른 신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이려고 긴 옷을 입고 다녔습니다.
말씀을 가르칠 때 긴 옷을 입은 것이 아니라 평상시 외출할 때 긴 옷을 입었습니다. 이들의 옷은 일반인들이 입는 의상과 다르게 옷 끝에는 수많은 술로 장식되어 있었습니다.
이런 옷을 입으면 불편하고 거추장스러울 것 같은 데 왜 이런 복장을 하고 외출했을까요? 자신이 서기관임을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이 옷을 입고 나가면 사람들이 알아보고 인사를 하는 것이죠. 이런 대우를 받으려고 긴 옷을 입고 다닌 것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가죽상자에 기도문을 넣고 다니면서 긴 기도를 드림으로 특별하고 경건한 존재로 인식되기를 바랬습니다.
또한 이들은 회당에서 모임을 가질 때 높은 자리에 앉았고, 잔치하는 곳에서도 상석을 차지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들이 일반인과 다른 높은 지위에 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하였습니다. 이런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높임을 받으려고 생각하는 순간 다른 사람을 차별하게 됩니다. 자신을 높이려면 다른 사람을 낮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사람을 차별하는 것은 교만한 행동인 것입니다.
골3:12절에서“그러므로 너희는 하나님이 택하사 거룩하고 사랑 받는 자처럼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으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의 택함 받은 사람은 자신을 돋보이려고 하지 말고,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으라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이 성도의 바람직한 자세가 아니겠습니까?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도 인정받는 직업이 있습니다. 검사, 판사, 의사 사회에서 존중을 받습니다. 그 일을 하려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인정을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스스로 자신은 높임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을 대할 때 고자세를 취한다면 인격상에 문제가.....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는 충실해야 하지만 이것이 교만으로 이어지면 안 됩니다. 교회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랑과 섬김의 공동체입니다. 교회에서 높임을 받으려 한다면 아직 교회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마태복음 20장 25절에서 27절의 예수님은“이방인의 집권자들이 그들을 임의로 주관하고 그 고관들이 그들에게 권세를 부리는 줄을 너희가 알거니와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않아야 하나니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너희의 종이 되어야 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의 가르침대로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가 아니라 섬기는 자가 되기를 힘써야 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가장 높은 지위와 권세를 가지셨지만.... 이 땅에 친히 오셔서 가진 것 모두를 우리를 위해 내어 주시고 가장 낮은 자리에서 우리를 섬겨주셨습니다. 예수님의 낮아지심과 섬김으로 우리는 구원을 받았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우리도 낮은 자리에서 이웃을 섬기셨던 예수님을 본받아야 합니다.
41절입니다.
41절 이하에서 예수님은 가난한 과부의 헌금에 대하여 칭찬하십니다. 예수님이 성전 헌금함을 지켜보시며 사람들이 어떻게 헌금하는지를 관찰하셨습니다. 헌금함에 부자는 많이 넣는데 가난한 과부는“두 렙돈, 한 고드란트”를 넣었습니다.‘렙돈’은 유대에서 통용되는 화폐 단위 중 가장 작은 화폐단위입니다. 로마에서 사용하는 화폐의 가장 작은 단위가‘고드란트’입니다. 두 렙돈이 한 고드란트입니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천원이 안 됩니다. 원어를 보면 부자의 헌금과 가난한 과부의 헌금 넣는 모습이 확실한 대조를 이룹니다. 부자가 많이 넣었다고 되어 있는데 원어적 뉘앙스를 살리면‘계속해서 헌금함에 돈을 넣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부자는 헌금함 앞에서 계속해서 돈을 넣음으로 헌금함에 돈이 떨어지는 소리가 계속 이어가게 했던 것이지요. 반면 가난한 과부의 헌금은 한 번으로 끝납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다른 사람보다 가난한 과부가 많이 넣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 이유가 44절에 나와있는데“그들은 다 그 풍족한 중에서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의 모든 소유 곧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과부는 자신의 소유 전부를 넣었다고 말씀 하십니다. 과부는 가난하여 가진 돈이 거의 없었습니다. 두 렙돈이 전부였습니다. 그러나 이 돈을 전부 헌금함에 넣은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가난한 과부가 많이 넣었다고 말씀 하셨습니다. 이 본문에서 주목해서 보아야 할 부분이 있는데... 예수님이 헌금함 앞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헌금하는지 관심을 가지고 그 모습을 지켜보셨습니다. 예수님은 얼마나 많은 액수를 헌금하느냐를 지켜보신 것이 아니라 어떤 마음의 자세로 헌금하는지를 눈여겨 보신것입니다.
우리 또한 헌금할 때 자세가 중요합니다. 어떤 마음의 자세로 헌금해야 할까요? 첫째, 감사하는 자세로 해야 합니다. 시50:14절에서“감사로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며 지존하신 이에게 네 서원을 갚으라”고 하였습니다. 헌금은 하나님이 베푸신 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입니다. 헌금할 때 하나님과 거래하는 식으로 하면 안 됩니다. 내가 이만큼 헌금하니 이에 합당한 복을 달라는 식으로 헌금하면 안 된다라는 것입니다. 베푸신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드려야 합니다. 헌금은“내가 지금까지 살아온 것이 하나님의 은혜이며, 내가 가진 모든 것도 하나님의 은혜입니다”를 고백하는 행위입니다. 하나님이 베푸신 은혜를 헤아려 감사하는 마음으로 주님께 드려야 하겠습니다.
둘째, 정직한 마음으로 드려야 하겠지요. 하나님은 정직한 자를 기뻐하십니다. 역대상 29:17절에 다윗은“내가 정직한 마음으로 이 모든 것을 즐거이 드렸다”고 합니다. 정직한 헌금은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하나님을 의식하고 드리는 헌금입니다.‘아나니아와 삽비라’사건은 거짓된 헌금을 하나님이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하나님을 의식하고 하나님께 정직하고 진실하게 드리는 헌금을 하나님이 기쁘게 받으십니다.
셋째, 자원하여 드려야 하겠지요. 억지로 또는 체면 때문에 드리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기쁨으로 자원해서 드리는 헌금이어야 합니다. 헌금의 자세가 중요합니다. 사람들 앞에 자신을 드러내려고 드리는 헌금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하며 기쁘게 자원하는 마음으로 드릴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재능과 지위, 물질, 삶의 모든영역에서 오직 하나님과 사람들을 섬기는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사람들에게 칭찬받고 인정받는 것도 귀하지만 그 누구보다 하나님께 내 삶을 진심과 전심으로 드려서 하나님께 칭찬받고 인정받고 쓰임받는 저와 여러분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파일 |
---|---|---|---|---|---|
3363 | 4월4일 새벽설교 요약 | 김두리 | 2025-04-04 | 1 | |
3362 | 4월3일 새벽설교 요약 | 김두리 | 2025-04-03 | 3 | |
3361 | 4월 2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4-02 | 3 | |
3360 | 4월 월삭 기도회 설교 요약 | 곽숭기 | 2025-04-01 | 3 | |
3359 | 3월 31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3-31 | 4 | |
3358 | 온 가족 토요새벽 기도회 (3월 29일) | 곽숭기 | 2025-03-29 | 6 | |
3357 | 3월 28일 새벽설교 요약 | 김성호 | 2025-03-28 | 5 | |
3356 | 3월 27일 새벽설교 요약 | 김성호 | 2025-03-27 | 6 | |
3355 | 3월26일 새벽설교 요약 | 김두리 | 2025-03-26 | 8 | |
3354 | 3월25일 새벽설교 요약 | 김두리 | 2025-03-25 | 7 | |
3353 | 3월24일 새벽설교 요약 | 김두리 | 2025-03-24 | 7 | |
3352 | 온 가족 토요 새벽 기도회(3월 22일) 설교 요약 | 곽숭기 | 2025-03-22 | 8 | |
3351 | 3월 21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3-21 | 9 | |
3350 | 3월 20일 새벽설교 요약 | 이승민 | 2025-03-20 | 8 | |
3349 | 3월 19일 새벽설교 요약 | 김성호 | 2025-03-19 | 10 |
댓글